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문화를 즐기다_책] “임금은 삼전도에서 항복했다”

기사승인 2022.05.01  22:11:43

공유
default_news_ad1
남한산성

역사를 소재로 소설을 쓴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역사소설은 역사적 사실에 기반을 둬야 한다. 그러나 작가는 있는 그대로의 사실만을 곧이곧대로 적어 내릴 수도 없다.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로부터 새로운 사유와 관념, 그리고 재미를 끌어내야 하는 것이 역사소설가의 책무다. 소설 ‘남한산성’은 널리 알려진 병자호란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말(言)이 실현되고 좌절되는 과정을 유려하게 그려낸다.

작품에서 죽음을 불사하더라도 청의 군대에 결사 항전해야 한다는 예조판서 ‘김상헌’의 말과 치욕을 감수하더라도 삶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는 이조판서 ‘최명길’의 말이 지독히도 얽히고설킨다. 죽음과 삶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며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는 임금의 말은 두 신하의 논쟁에 덧없이 스며든다.

존엄한 죽음이 비참한 삶보다 낫다는 상헌의 말은 우뚝했다. 항복한다면 적은 사직을 모욕할 뿐만 아니라 조선 땅의 소출과 부녀자들을 약탈할 것이었다. 상헌은 임금의 손으로 백성을 오랑캐에 넘길 수는 없다고 상소했다. 반면 명길은 전쟁이 길어지고 화친이 늦어질수록 청은 더욱 많이 요구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아직 싸울 수 있을 때 교섭을 시작한다면 최소한의 양보를 받아낼 수 있을지도 모른다. 백성과 나라를 지키기 위해선 치욕스러운 삶의 길을 감수해야 한다는 게 명길의 주장이었다. 신하들이 논쟁을 마친 후 결단은 임금의 몫으로 넘어갔다. 임금은 끝내 ‘삶’을 선택했다. 그는 문무백관을 이끌고 청 황제가 있는 삼전도로 향했다. 정축년 겨울, 임금은 삼전도에서 항복했다.

삼전도의 굴욕으로 마무리되는 이 소설은 명길의 말이 실현되고 상헌의 말이 좌절되는 것처럼 보인다. 오늘날 독자들이 보기에 한사코 종묘사직을 수호해야 한다는 상헌의 고집은 고리타분하게 들릴 수도 있다. 그러나 명백한 열세 속에도 우직했던 상헌의 태도를 보면 한 가지 질문이 머릿속을 스쳐 간다. ‘더 많은 사람을 살리기 위해서 침략자에게 머리를 조아리고 항복하는 것이 옳은 것인가?’

오래전 한반도 역사 속에서 종결됐던 것만 같았던 이 질문은 2022년 현재의 유럽의 동쪽,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서 다시 이어지고 있다. 주권을 지키기 위해서 목숨을 걸어야 하는가? 아니면 목숨을 지키기 위해서 주권을 포기해야만 하는가? 400년 전의 조상들이 겪은 이 난제에 우리는 다시 한번 대답해야만 한다. 비극의 역사가 다시는 반복되지 않기를 바라지만 400년 후 후대들도 똑같은 고민을 할지도 모른다. 상헌과 명길이 내린 나름의 해답과 그들이 벌였던 열띤 논쟁이 우리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듯, 지금 지구 반대편에서 벌어지는 대립의 결말은 역사에 기록돼 미래 세대의 논쟁에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이기원 수습기자 12212918@inha.edu

<저작권자 © 인하프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